월급 명세서 보는 법|공제·실수령액 꼼꼼히 확인하기
💡 왜 월급명세서를 꼼꼼히 봐야 할까?
월급날이 되면 통장에 찍히는 금액만 보고 넘기시나요? 명세서를 열어보면 시급·주휴수당·기본급·각종 수당과 함께 4대 보험, 세금, 공제항목까지 명확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작은 차이가 쌓이면 큰 돈! 명세서 읽는 법을 하나하나 알려드립니다.
✅ 1. 월급 명세서 기본 구조 이해하기
명세서에는 크게 지급항목과 공제항목이 나뉩니다. 지급: 기본급, 연장·야간·휴일근로수당, 주휴수당, 식대, 교통비, 상여금 등 공제: 국민연금, 건강보험, 장기요양, 고용보험, 소득세, 지방소득세, 사내복지공제 등 각 항목별로 무엇인지 이해하면 급여 체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.
✅ 2. 4대 보험 공제액 계산법
2026년 기준 월급 2,156,880원이라면: - 국민연금 4.5% → 약 97,000원 - 건강보험 3.495% + 장기요양 0.455% → 약 85,000원 - 고용보험 0.9% → 약 19,400원 총 약 200,000원 공제됩니다.
✅ 3. 소득세·지방세 공제 이해하기
소득세와 지방소득세는 연봉·부양가족 수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. 최저임금 수준 급여라면 공제액이 소액이거나 면제되는 경우도 많습니다. 예: 소득세 3,000원, 지방세 300원. 하지만 연봉이 높아지면 구간별로 세율이 올라가니 주의해야 합니다.
✅ 4. 실전 명세서 예시
예: 주 40시간, 시급 10,320원, 월 2,156,880원 - 지급: 기본급 2,156,880원 + 주휴수당, 야간수당 등 - 공제: 4대 보험 약 200,000원 + 세금 약 3,300원 → 실수령액 약 1,950,000원~1,960,000원 **주의:** 각종 수당 포함 여부, 식대·교통비 비과세 처리에 따라 실수령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
✅ 5. 알바생·직장인이 놓치기 쉬운 함정
특히 2021년부터 명세서 발급이 의무화되었습니다. 지급·공제 내역을 반드시 요구하고 확인하세요.
✅ 6. 사장님·알바생 모두의 체크리스트
사소한 차이가 쌓이면 억울한 손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 꼼꼼히 챙기세요!